영단어도 어느 정도 외웠고 현재 •과거 •미래 시제에 대해서 감이 잡혀갈 때쯤 나타나는 시제가 바로 ‘완료 시제’ 인데요.
완료 시제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게 바로 ‘had p.p’ ‘과거 완료’예요.
특히 이 시제는 문어체에서 많이 쓰이기 때
문에 영어 책을 통해 문장으로 공부하면 쉽게 배울 수 있어요.
Had p.p. 과거완료 시제는 도대체 왜 쓸까요? 과거에 일어난 일들을 차례로 이어서 일어난 순서대로 말을 한다면 had p.p.는 쓸 필요가 없어요.
예를 들어 어떤 일어난 순서가 A à B à C라서 그 순서대로 말하면 과거형만 쭉 쓰면 돼요. 그런데, 어떤 일에 인과 관계 혹은 시간 상의 전후 관계가 있어서 ‘내가 C를 했는데, 그전에 A와 B를 했었다.’라고 말하고 싶을 때, 필요한 게 바로 ‘had p.p’입니다.
Had는 have의 과거형이죠? Have는 ‘가지다’라는 뜻인데 물건을 갖는 것뿐만 아니라 어떤 사건, 그런 경험을 갖는 것도 말할 수 있어요.
그럼, 그림과 문장으로 설명드릴게요.
-Nemo jumped into a pipe. Nemo was gone.
-Nemo was gone. Nemo had jumped into a pipe.
영어는 중요 순서대로 단어나 문장을 놓는데, 첫 번째 문장은 ‘니모는 파이프로 뛰어
들었어요. 니모는 가버렸어요.’라는 뜻으로 시간을 그대로 쭉 나열한 느낌이에요.
그런데, 두 번째 문장은 ‘니모는 갔어요. 니모가 그전에 파이프로 뛰어 들었거든요.’라는 뜻으로 뭐가 먼저 일어났는지 had로 말해서 상황을 더욱 극적으로 이야기는 느낌이에요.
그리고, 다른 문장에서는
-A little girl snuck through. (and) “Boo” came a voice from the door.
-“Boo” came a voice from the door. A little girl had snuck through!
첫 번째 문장은 ‘어린 여자아이가 살그머니 넘어왔어요. (그리고) “부”라는 목소리가 흘러 문에서 나왔죠’의 의미로 시간 순서대
로 쭉 나열한 느낌이에요.
그런데, 두 번째 문장은 ‘”부”라는 목소리가 문에서 흘러나왔어요.
어린 소녀가 그전에 문을 넘어온 것이었어요!’ 와 같이‘”부”라고 부르는 극적인 상황’을 먼저 이야기해요. 그다음에 아이가 넘어온 일이 먼저 일어나서(had snuck) 그 소리 들을 수 있었던 상황을 설명해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