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즘 해외에서 파는 물건도 쉽게 한국으로 배달 받을 수 있는데요. 해외에서 배송된 물건은 ‘Your package has been delivered.’와 같은 영문 문자로 배송이 완료되었다는 연락이 오기도 해요.
▪ Your package has been delivered. 당신의 택배가 배송 되었습니다.
이런 문장을 보면 has been과 delivered 때문에 문장 구조가 어렵게 느껴질 거예요.
이 문장의 주어는 I, he, she, Steven과 같은 사람이 아닌 Your package에요.
‘사람이 택배를 배송을 했다.’가 아니라 ‘택배가 (사람에 의해, 즉 택배기사에 의해) 배송되었다’처럼 말해서 택배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해서 말하고 있어요.
이런 문장을 ‘수동태’라고 불러요. 이렇게 택배와 같이 사람이나 사물이 당한 일에 대해서 be + p.p (수동태)로 쓰게 돼요. deliver에는 ‘배송하다’라는 뜻이 있는데, p.p와 같이 분사 형태 delivered라고 쓰면 ‘배송되다’라는 뜻이 돼요.
▪ Your package is delivered. 택배가 (항상) 배송된다.
is delivered 같이 현재 시제로 쓰면 항상, 자주 그런 일이 일어나는 것과 같은 뜻이 돼요. 위에문자처럼 ‘‘(막) ~한 일이 있다’, 즉 ‘택배 물건이 (막) 배송 된 일이 있다, 배송되었다.’와 같은 의미로 써야 해서 현재 완료(have/has p.p)를 써요.
be동사는 p.p.형 been으로 바꿔 have/has been delivered(O)로 말해요.
만약, 배송된 택배 물건이 여러 개라면,
▪ Your packages have been delivered. 택배 물건들이 배송되었습니다.
그래서 ‘ (주어)가 막~ 된 일이 있습니다.’ ‘(주어)가~ 되었습니다’라는 표현은,
주어 have(has) been _______.
다른 예문들로 보면,
▪ The rule has been changed. 그 규칙이 바뀌었어.
▪ A list has been made. 목록이 만들어졌어.
‘수동태’에 대해서 더 자세한 설명과 다양한 예문들은 영상을 통해서 확인하세요~!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