외국인 친구와 만나기로 했는데, 늦게 도착할 것 같아서 ‘너 벌써 옷 입었어?’라고 ‘Did you wear clothes already?’라고 메시지를 보냈어요.
그런데, 그 친구에게서 ‘I wear clothes every day(난 옷 매일 입고 있어).’라고 답장이 와서 ‘wear’라고 쓴 표현이 틀렸다는 것을 알고 당황했어요.
여기서 ‘wear’는 왜 틀렸을까요? 뭐라고 써야 상황에 알맞은 표현이 될까요?
‘입다’라고 할 때 쓰는 표현은 총 4가지가 있어요. 모두 옷을 입는 것에 대해서 말하지만 조금의 뉘앙스 차이가 있어요.
- wear 입고 있다
- put on 입는 중이다
- dress 입(히)다
- get dressed 입다
조금씩 의미가 다르다는 게 느껴 지시나요? 그럼 자세히 알아보고 익혀 볼게요!
① 우선, 외출복이든 잠옷이든 우리는 계속 옷을 입고 있어요.
이런 ‘상태’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‘wear’예요.
그래서 wear는 거의 항상 be +v~ing 또는 현재형으로 말을 해요.
▶ I’m wearing a pink sweater. 나 핑크색 스웨터 입고 있어.
② 그러면 옷을 입고 있는 게 아니라 ‘옷을 입는 중’이라면 ‘put on’이라고 해요.
▶ I’m putting on my coat! 나 코트 입는 중이야.
③ 오래전부터 입었던 드레스(dress)를 떠올려보면 dress 자체가 ‘옷을 입는다’는
행위도 말하는데 이건 구어체에서 잘 안 쓰고 ‘(누군가에게) 옷을 입힌다’는
뜻으로도 써요.
▶ I need to dress my daughter. 우리 딸 옷을 입혀야 해.
④ get dressed는 ‘옷을 입다’인데 ‘전체를 다 입는 것’을 뜻해요.
‘get(얻다)이라는 뜻에 동사를 써서 ‘dressed(옷 입혀진)’을 의미로
get dressed(옷 입혀진 것을 얻다= 옷을 입다) 가 옷을 다 입은 걸 말해요.
▶ It’s time to get dressed. 옷 입을 시간이야.
그렇다면, ‘너 준비 다 했어?’, ‘옷 다 입었어?’는 어떻게 영어로 말하면 좋을까요?
‘입다’에 대해서 더 자세한 설명과 다양한 예문들은 영상을 통해서 확인하세요~ |